It is the cipher algorithm used by the Roman general Gaius Julius Caesar to communicate with the allied forces around 100 BC.
기원전 100년경, 로마의 장군 가이우스 율리우스 시저(Gaius Julius Caesar)가 동맹군들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사용했던 암호 알고리즘.
It is a cipher algorithm that moves a certain distance based on alphabetical order and substitutes it with another alphabet.
알파벳 순서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다른 알파벳으로 치환하는 방식의 암호 알고리즘.
A cryptographic key is required when creating a cipher text. In Caesar's cipher, the cipher key is the distance moved.
암호문을 만들 때는 암호키가 필요하다. 카이사르 암호에서 암호키는 이동한 거리이다.
If the encryption key is +3, B can be replaced by E.
암호키가 +3이라면, B는 E로 치환될 수 있다.
If the encryption key is 3, it is called ROT3(Rotate by 3). In general, ROT13 is frequently mentioned by convention.
만약 암호키가 3이라면, ROT3(Rotate by 3)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ROT13이 관례적으로 자주 언급된다.
vulnerably and unusually, cipher key appears in the cipher algorithm name.
취약하면서도 특이하게, 암호키가 암호 알고리즘 이름에 나타난다.
The English alphabet consists of 26 characters from a to z, so you can restore the ciphertext if you try 26 times while changing the key.
영어 알파벳의 경우, a부터 z까지 26자로 구성되어 있기에, 키를 바꾸어가며 26번의 시도를 해본다면 암호문을 복원할 수 있다.
Upper case letters are replaced with upper case letters, and lower case letters are replaced with lower case letter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lphabet, if ROT13 is twice (ROT13 + ROT13 = ROT26), it turns around once again and becomes the original letter.
대문자는 대문자끼리, 소문자는 소문자끼리 치환한다. 그러므로, 알파벳의 경우 ROT13을 두번(ROT13 + ROT13 = ROT26) 하면 한 바퀴를 돌아 다시 원래의 글자가 된다.
Caesar ciphers are unsuitable for modern cryptographic purposes, considering their difficulty, and are mainly used for quizzes and puzzles.
카이사르 암호는 그 난이도를 고려했을 때 현대의 암호화 목적으로는 부적합하며, 주로 퀴즈나 퍼즐 용도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