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파일(Compile)
The task of converting source code to object code.
소스코드를 목적코드로 변환해주는 작업.
Generally, the source code is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C, JAVA) written by humans, and the object code is a low-level programming language (machine language)
일반적으로 소스코드는 사람이 작성하는 고수준의 프로그램 언어(C, JAVA)이고, 목적코드는 컴퓨터가 처리하기 용이한 저수준의 프로그램 언어(기계어)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The source code and the object code are different in the side of the applied program language but the function is the same.
소스코드와 목적코드는 적용된 프로그램 언어만 다를 뿐 그 기능은 동일하다.
The software that performs this task is called a compiler.
이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컴파일러(Compiler)라고 부른다.
인터프리트(Interpret)
The task of converting source code into object code at the time of program execution.
프로그램 실행 시점에 소스코드를 목적코드로 변환해가며 실행하는 작업.
It is different from the compile which is a concept that requires you to convert the entire source code into object code before execution.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소스코드 전체를 목적코드로 미리 변환 해두어야 하는 개념인 컴파일과는 다르다.
Execution speed is slower than compilation because the source code needs to be converted at runtime.
실행 시 소스코드를 변환 해야 하므로 실행 속도가 컴파일보다 느리다.
The software that performs this task is called an interpreter.
이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인터프리터(interpreter)라고 부른다.
파싱(Parsing)
The task of separating strings (tokens) according to the grammar of the programming language so that they can be interpreted/compiled by a computer.
컴퓨터가 해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언어의 문법에 따라 문자열(token)을 구분하는 작업.
It is syntax analysis through grammar check.
문법 검사를 통한 구문 분석.
It is included in the compilat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
컴파일이나 인터프리트 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The software that performs this task is called a parser.
이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파서(Parseer)라고 부른다.